• SKT, 주요 서비스 핵심 기술 공개…아이폰용 'T맵' 개발 가능해져

    • 매일경제 로고

    • 2010-12-06

    • 조회 : 787

    • 댓글 : 0

    비밀번호 입력 닫기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확인

    SK텔레콤이 플랫폼 전략에 시동을 걸었다.

    아이폰과 아이패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T맵’ 애플리케이션(앱)이 등장하고 휴대폰이 아닌 와이파이(WiFi) 기능을 갖춘 MP3 플레이어나 PMP에서도 문자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 개발될 전망이다.

    5일 SKT에 따르면 1차로 위치기반서비스(LBS)와 단문메시지서비스(SMS)/멀티미디어문자서비스(MMS) 등의 응용프로그램개발환경(API)을 외부 개발자에게 공개키로 했다.

    이를 위해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통합 기반기술 공개 센터인 ‘T API센터(apicenter.tstore.co.kr)’를 3일 오픈했다. ‘T API센터’는 SKT의 서비스를 단순화된 API 형태로 웹상에서 제공, 이를 활용해 다양한 앱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SKT 관계자는 “이번 LBS와 SMS/MMS API 개방을 시작으로 T스토어나 멜론, 모바일 페이먼트 등 주요 서비스에 대해서도 API화 작업을 거쳐 T API센터를 통해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제공되는 API는 측위기술과 전국 맵 플랫폼, T맵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목적지 길 안내 등이다. 또, 내년 상반기에는 각종 위치와 장소에 대해 100만개 이상 정보가 축적된 ‘POI(가는 길에 들를 수 있는 지점)’, 실시간 교통정보가 반영된 가장 빠른 길 안내, 전국 6대 광역시와 지방 국도 실시간 교통 정보 등이 추가로 제공될 예정이다. LBS와 함께 개방된 메시징 API는 통신 모뎀이 탑재되지 않은 다양한 기기에서도 와이파이를 통해 SMS/MMS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 다양한 산업에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한다는 전략이다.

    SKT는 스마트TV·냉장고·세탁기·카메라 등 비통신 기기에서 SKT 메시징 인프라를 활용해 홈네트워크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자와 B2B 분야의 협력을 추진 중이다. 특히, 이달 중에 PMP 전문업체인 코원은 SKT와 협력해 SMS/MMS 송수신이 가능한 제품을 출시한다.

    SKT 홍성철 서비스부문장은 “이번 API 개방 정책으로 SKT의 핵심 부가서비스가 다양한 서비스 플랫폼으로 진화·발전이 가능하도록 확장성을 가지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LBS기술, SMS/MMS 등을 시작으로 콘텐츠 유통, SNS, 커머스 등 다양한 영역의 API를 외부에 제공해 글로벌 서비스플랫폼으로 발전시켜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

    신고
    뉴스 인기 게시글
    전체 댓글

    0/1,000

    등록

    디지털/가전 뉴스의 다른 글

    로그인 하고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쇼핑지식 인기글

    로그인 하고 에누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에누리TV

    더보기

    커뮤니티 인기글

    더보기

    BEST 구매가이드

    더보기

    사용자 리뷰

    더보기

    투데이 HOT CLIP

    더보기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