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스마트기기 시장, 꿈의 7㎜대 진입

    • 매일경제 로고

    • 2012-01-12

    • 조회 : 1,351

    • 댓글 : 0

    비밀번호 입력 닫기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확인

    삼성전자와 애플이 스마트 기기 두께 경쟁에 다시 돌입하면서 올해 7㎜대 스마트폰·스마트패드가 등장할 전망이다. 양사는 지난해 8㎜대를 놓고 박빙의 접전을 펼친 데 이어 새해 7㎜대 제품을 먼저 내놓기 위해 승부수를 던졌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애플은 최근 7㎜대 두께 구현을 목표로 차세대 스마트폰·스마트패드(태블릿PC) 개발에 나섰다.

     

    애플은 '신글라스' 공정 기술로 올해 7㎜대 두께의 아이패드3와 아이폰5를 출시할 계획이다. 신글라스는 유리기판에 화학약품을 뿌린 뒤 폴리싱(연마) 처리로 두께를 줄이는 공정이다. 애플은 커버에도 유리를 사용하는 등 경쟁사보다 유리기판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두께와 무게를 줄이는 데 신글라스 공정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앞서 아이패드2 두께를 8.8㎜로 줄이기 위해 LCD기판과 터치스크린패널(TSP)에 신글라스 공정을 적용한 바 있다.

     

    보통 원판 유리 가공업체는 0.5㎜ 기판을 공급하는데, 애플은 신글라스 기술로 40% 깎아낸 0.3㎜짜리 기판을 사용한다.

     

    TSP용 인듐주석산화물(ITO) 글라스도 20% 식각한 0.4㎜ 제품을 활용한다. 아이패드3 개발에 착수하면서 애플은 0.25㎜ LCD 기판 유리를 처음 적용했으며, 아이폰5에는 0.2㎜ 두께 제품을 사용할 것으로 전해졌다.

     

    애플 협력사 관계자는 “유리기판이 얇아질수록 가공하기 어려워 충격·진동 방지 공정 구축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면서 “이전 모델보다 공정 수율을 안정화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기판 유리에 집중하는 애플과 달리 삼성전자는 반도체·전자부품 크기 줄이기에 주력하고 있다. 갤럭시S3를 7㎜대 두께로 구현하기 위해 세계 최소형인 0.1㎜ 이하 높이의 BtoB(Board to Board) 커넥터를 처음 적용한다. MLCC 등 칩 부품도 기존 제품보다 10~20% 부피가 줄어든 제품을 사용한다. 갤럭시S3에도 이전 제품과 같이 능동형(AM)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일체형 터치인 OCTA가 적용된다. 올해 출시될 갤럭시 시리즈 모델에는 얇은 두께를 구현할 수 있는 커버유리 일체형 TSP(G2)도 두세 모델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차기 모델 출시 일정과 기술 규격은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이형수기자 goldlion2@etnews.com

     

     

    신고
    뉴스 인기 게시글
    전체 댓글

    0/1,000

    등록

    디지털/가전 뉴스의 다른 글

    로그인 하고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쇼핑지식 인기글

    로그인 하고 에누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에누리TV

    더보기

    커뮤니티 인기글

    더보기

    BEST 구매가이드

    더보기

    사용자 리뷰

    더보기

    투데이 HOT CLIP

    더보기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