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앱다운로드받기

    에누리 가격비교

    모바일로 더욱 특별해진 가격비교!

    QR코드 스캔
    QR코드
    앱 다운로드
    구글 PLAY스토어
    애플 스토어
    다운로드 SMS 보내기
    SMS보내기
    앱 설치페이지 주소를 무료문자로 발송해 드립니다.
    입력하신 번호는 저장되지 않습니다.
  • 더보기
  • 라데온 드라이버 3종 배틀그라운드 성능 변화 벤치마크

    • 매일경제 로고

    • 2018-03-12

    • 조회 : 3,800

    • 댓글 : 0

    비밀번호 입력 닫기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확인

     

     

     

     

    라데온 드라이버 3종 배틀그라운드 성능 벤치마크

     

    Project ReSX, 과연 배틀그라운드 성능 변화는?

     

    안녕하세요. 퀘이사존벤치입니다.

     

    며칠 전 퀘이사존에서는 엔비디아 지포스 드라이버 391.01 버전이 발표됨에 따라 배틀그라운드 성능 변화를 알아본 바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들의 직접적인 경쟁사인 AMD는 어떨까요? 가만히 놀고만 있었던 것은 아닐 겁니다. 특히 AMD는 최근 Project ReSX(Radeon eSports Experience)란 이름 하에 게이밍에 최적화된 드라이버 개발을 지속하고 있었고, 그 내용에는 배틀그라운드의 괄목할 만한 성능 향상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검증의 필요성이 느껴지는 대목이죠. 그래서 준비했습니다.라데온 드라이버 3종 배틀그라운드 성능 벤치마크.

     

     

     

     

    ▲ 라데온 드라이버 18.3.1 vs. 17.12.1 성능 차이

     

    슬라이드 이미지를 참고하면 배틀그라운드, 오버워치, 도타 2 게임에서 확실한 성능 향상이 발생한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특히 배틀그라운드에서의 높은 성능 향상이 눈에 들어오는데요.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비교 대상 드라이버가 바로 이전 버전이 아닌 작년 12월 버전이라는 것입니다. 즉 최적화는 진작에 진행하고 있었는데, 엔비디아가 최근 드라이버로 배틀그라운드 성능 향상을 강조하면서 주목을 받자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써 다시 한 번 강조한 것이 아닐까 추측됩니다.

     

    어쨌든, 이유를 불문하고 게이머 입장에서의 성능 최적화는 좋은 것이죠.그렇다면 이제 남은 건 검증입니다. 그들의 주장대로 확실한 성능 향상이 있을지 확인해보도록 합시다.

     

    벤치마크 시스템 사양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바로 드라이버입니다. AMD가 내세우고 있는 최신 드라이버 버전(18.3.1)과 함께 바로 이전 버전(18.2.3), 그리고 그들이 비교 대상으로 삼고 있는 17.12.1 버전을 모두 포함하여 총 3종의 드라이버로 비교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 퀘이사존 후원사 특별 협찬

     



    파워서플라이:FSP AURUM PT1000W ->제품정보클릭
    SSD:마이크론 Crucial MX300 아스크텍 1TB ->제품정보클릭
    램:G.SKILL DDR4 PC4-24000 TRIDENT Z 8GB x2->제품정보클릭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 8종 선정

     

     

     

    ▲ 8종 라데온 그래픽카드 간략 스펙 및 세팅 정보

     

    라데온 드라이버의 성능을 대표하게 될 8종 그래픽카드를 선정하였습니다.또한, 모든 그래픽카드는 레퍼런스 클록 기준으로 세팅되었는데요. 즉 팩토리 오버클록이 적용된 비레퍼런스 모델도 레퍼런스 클록으로 조정하였기 때문에, 위 표와 동일한 스펙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드라이버 설정과 파워 타깃(Power Target)은 모두 기본값으로 개개인의 쿨링 환경 차이로 인한 성능 차이(부스트 클록)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게임 테스트 시에는 약 10분 정도의 워밍업(초반 GPU 온도가 낮은 상황에서 부스트 클록이 높게 치솟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을 거친 후 프레임 측정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실제 유저 입장에서의 게임 성능에 최대한 가까운 결괏값을 얻어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테스트 해상도/게임 옵션/벤치마크 구간

     

     

     

     

    해상도는 게이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FHD(1920x1080) 해상도를 기본으로 포함합니다. 이 외에도 파워유저나 고사양 게이머들이 선호하는 QHD(2560x1440), 4K/UHD(3840x2160) 해상도 역시 테스트에 포함하였습니다.

     

     

     

     

    ▲ 게임 옵션 설정 표(울트라 옵션 + 국민 최적화 옵션)

     

    테스트를 위한 배틀그라운드 그래픽 옵션은 두 종류로 설정하였습니다. 먼저 가장 높은 그래픽 품질을 보여주는 울트라 옵션(Preset 형태로 제공)과 소위 '국민 최적화 옵션'으로 불리는 커스텀 옵션입니다.

     

    국민 옵션의 경우 안티, 텍스처, 거리 옵션만 울트라로 유지하고 나머지 옵션은 최소 품질로 유지하는 것이 핵심인데요. 안티의 경우 이견이 있을 수 있는데, 생각보다 성능 하락이 크지 않고, 무엇보다 안티를 낮추면 이미지가 매우 거칠게 보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취향껏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 라데온 드라이버 배틀그라운드 성능 테스트 구간 영상

     

    벤치마크 테스트는 실제 게임 플레이와 리플레이 간 성능 차이가 거의 없는 지역으로 설정하였습니다. 해당 리플레이 구간에서 반복 테스트를 통해 드라이버 버전에 따른 성능 테스트를 실시하였습니다.

     

    ※ 아래 내용부터는 벤치마크 결과로 이어집니다.

     

     

     

     

    ▲ 라데온 드라이버 3종 성능 테스트 결과 표(울트라 옵션)

     

    결과가 나왔습니다. 생각보다 드라이버 버전에 따른 성능 차이가 크게 발생하여, 개인적으로도 놀라운 결과입니다. 가장 최신 버전인 18.3.1의 경우 17.12.1과 비교하여 작게는 약 9% 크게는 16%까지도 성능 차이가 발생합니다. 전반적으로 10~12%의 성능 차이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최신 버전에 한정된 결과가 아니고 바로 이전 버전인 18.2.3 드라이버에서도 유사한 성능을 발휘해주기 때문에, 그 이전부터 성능 최적화가 진행되었다는 것을 반증해줍니다. AMD 입장에서는 이런 부분을 강조해줄 필요가 있었겠죠. 다음은 국민 옵션 적용 시의 성능도 살펴봅시다.

     

     

     

     

    ▲ 라데온 드라이버 3종 성능 테스트 결과 표(국민 옵션)

     

    국민 옵션에서는 비교적 균일한 성능 향상치를 보였던 울트라 옵션과 달리, 그래픽카드 종류별로 성능 향상치가 상이하게 나타났습니다. 크게는 10% 이상의 성능 향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6~8% 수준입니다. 다만 여기서 고성능 그래픽카드 제품군의 FHD 성능 향상률이 거의 없다는 점이 이상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배틀그라운드는 자체적으로 144 FPS 제한이 걸려있기 때문에 이미 144 FPS 수준의 성능을 발휘하는 그래픽카드라면 성능 변화를 데이터로 추출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9 Fury X 미만, RX 580 8GB 이하 제품군에서는 FHD 해상도에서 성능 향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덧붙여 R9 Fury X의 경우 QHD 해상도를 적용해도 성능 변화가 거의 없는데요. 아마 상대적으로 구세대 아키텍처 제품인 탓에 드라이버 효과를 최대한 누리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정리하면, 얼마 전 실시했던 엔비디아 드라이버 테스트의 경우 울트라 옵션에 한정된 성능 향상을 보였으나 AMD는 울트라 옵션뿐만 아니라 국민 옵션에서도 성능 향상이 발생하며, 성능 향상의 정도도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본 테스트 결과를 근거로 성능 그래프를 제작해보았습니다.

     

    라데온 드라이버 3종 배틀그라운드 성능 지수 - FHD

     

     

     

     

     

    현재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의 최상위 성능을 가진 RX Vega 64/56 모델은 약 10% 성능 향상을 보여주는데요. 여기에 그치지 않고 그 이하 제품군에서는 더 높은 성능 향상을 발생시키며 드라이버 최적화의 힘을 확실히 증명하고 있습니다.

     

    라데온 드라이버 3종 배틀그라운드 성능 지수 - QHD

     

     

     

     

     

    다음은 QHD 해상도입니다. RX 570 이상의 그래픽카드에 한정하여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여전히 높은 성능 향상치를 보여줍니다. 또한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GPU 성능 분별력이 강화되는 환경이 조성되는데요. 이에 대한 결과로 RX Vega 64/56의 성능 향상치가 FHD에 비해 확실히 증가했음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라데온 드라이버 3종 배틀그라운드 성능 지수 - 4K/UHD

     

     

     

     

     

    마지막으로 4K/UHD 해상도입니다. 엄청난 GPU 연산 부하량을 가진 해상도이기에 RX Vega 64/56에 한정하여 테스트를 진행했는데요. RX Vega 56에서 더 높은 성능 향상이 관측되었습니다. 이렇게만 테스트를 끝내면 재미 없겠죠.

     

    그렇다면 NVIDIA/AMD 양 사의 최신 드라이버를 모두 적용했을 때 주요 그래픽카드의 배틀그라운드 성능 양상은 어떨지 궁금합니다. 그래프를 통해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NVIDIA/AMD 최신 드라이버 배틀그라운드 성능은? - 3종 해상도

     

     

     


     

     

     


     

     

     

     

    배틀그라운드의 얼리 액세스 시절 벤치마크 데이터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의 위상이 많이 올라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X Vega 64는 GTX 1080에 전혀 밀리지 않으며, 고해상도 환경에서는 오히려 소폭 넘어섭니다. RX Vega 56은 GTX 1070을 꾸준히 앞서고 있고요. RX 580과 GTX 1060 6GB 대결구도에서도 RX 580의 승리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과거 AMD는 퀘이사존과의 인터뷰에서 PUBG 측과 성능 최적화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놓았는데요. 본 테스트 결과를 통해 허언이 아니라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라데온 드라이버 3종 배틀그라운드 성능 벤치마크

     

    드라이버 업데이트로 배틀그라운드 성능이 '꽤' 향상되었다

     

    AMD가 내세우고 있는 Project ReSX의 실질적 성능 향상 효과는 확실했습니다. 또한 그 정도 역시 엔비디아의 수준을 초과하면서 드라이버 최적화 부문의 존재감을 과시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가 배틀그라운드의 울트라 옵션에 한정된 성능 향상을 제공했던 것과 달리, AMD는 국민 옵션에서도 성능 향상이 발생했습니다.

     

    속된 말로 '성장형' 그래픽카드라 불리는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의 별칭이 근거 없는 별칭이 아니라는 것이 또 한 번 증명된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을 무조건 좋게만 생각할 수 없겠죠. 물론, 새로운 게임이 출시되면 그에 맞는 최적화 드라이버를 내놓는 것은 NVIDIA/AMD 양 사의 공통적인 행보지만, 특정 게임에 한정된 것이 아닌 전반적인 성능 변화나 그 정도가 크게 발생한다면 다른 측면에서의 의문도 생기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제품 출시 초기의 성능 최적화는 왜 이렇게 부진한 상태인가?'라고 말이죠.

     

    드라이버 최적화는 말 그대로 애초에 정해진 하드웨어 스펙과 자원 안에서 성능을 최적화하는 작업이기에 한계가 있습니다. 즉 낼 수 없는 성능을 낼 수 있게 만들어주는 마법이 아닌 것이죠.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AMD가 현재 노력하고 있는 게임 최적화 활동을 지지하고 응원하지만, '성장형' 그래픽카드라는 별칭의 이면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좋은 제품이란 출시 초기부터 비교적 높은 최적화 수준과 드라이버 완성도를 보장해주어야 하며 이는 곧 제품의 신뢰성으로 이어집니다. 최근의 AMD는 스스로도 드라이버 부문에서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노력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드라이버 개발 프로세스를 더욱 성숙시키는 것이 제품에 대한 절대적인 성능을 어필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가장 주목도가 높은 시기인 제품 출시 및 엠바고 해제와 함께 등록되는 벤치마크 결과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도를 생각해보면 이런 대목을 더더욱 강조할 수밖에 없겠죠. 사설은 이쯤에서 마무리하고 테스트 결과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3종 드라이버 테스트 결과 18.3.1은 17.2.1과 비교하여 울트라 옵션 기준, 10~12% 이상의 성능 향상을 제공한다. 그러나 바로 이전 버전인 18.2.3과 비교하면 대동소이한 성능.

     


     

    2. 지포스 벤치마크와 비교했을 때의 핵심 차이점은 라데온은 드라이버 최적화로 인한 성능 향상치가 더 크며, 국민 옵션 적용 시에도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

     


     

    3. 배틀그라운드 얼리 액세스 시절 벤치마크 결과와 비교하여 라데온 그래픽카드의 상대적인 위상이 높아졌다. RX Vega 64는 GTX 1080 이상의 성능, RX Vega 56 > GTX 1070, RX 580 > GTX 1060 6GB 등.

     

     

     

     

    ※ 참고:AMD Radeon Software Adrenalin Edition 18.3.1 다운로드 링크

     


     


     


     


     

     

     

     

     

     

     

     


    퀘이사존의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라데온 드라이버 3종 배틀그라운드 성능 변화 벤치마크

    신고

    리뷰게시판 인기 게시글

    전체 댓글

    0/1,000

    등록

    리뷰게시판의 다른 글

    로그인 하고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로그인 하고 에누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에누리TV

    더보기

    커뮤니티 인기글

    더보기

    많이 본 뉴스

    더보기

    BEST 구매가이드

    더보기

    투데이 HOT CLIP

    더보기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