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Fi 6이 뭐지? 차세대 Wi-Fi 규격 알아보기

    • 매일경제 로고

    • 2019-04-02

    • 조회 : 492

    • 댓글 : 0

    비밀번호 입력 닫기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확인

    [smartPC사랑=임병선 기자] 유무선 공유기를 보면 IEEE 802.11n 지원, IEEE 802.11ac 지원 등 알 수 없는 단어가 등장한다. 유무선 공유기에 지원하는 속도만 체크하면 될 텐데 왜 이런 단어를 사용하는지 궁금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여기에 새로운 규격인 IEEE 802.11ax이 등장하면서 이런 단어와 함께 ‘Wi-Fi 6’라는 것도 등장했다. 802.11ax와 Wi-Fi 6는 어떤 것이고 어디에 사용되는 것일까? Wi-Fi의 규격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Wi-Fi란?

     

    먼저 Wi-Fi에 대해 짚고 넘어가자. Wi-Fi는 무선 통신 표준 기술 중 하나인 IEEE 802.11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규약이다. IEEE는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의 줄임말로, 전기 전자 공학자 협회라는 뜻이다.

     

    Wi-Fi는 어떤 단어의 줄임말이 아닌 고유 명사이자 상용 명칭이고 Wi-Fi가 IEEE 802.11에 기반하고 있을 뿐, Wi-Fi와 IEEE 802.11이 같은 뜻은 아니다. 사용 명칭이기 때문에 Wi-Fi 협회에서 인증받지 않은 회사 제품에는 ‘Wi-Fi 지원’이라는 언급을 할 수 없다. Wi-Fi의 신호 상태를 나타내는 부채꼴 아이콘은 Wi-Fi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Wi-Fi는 그동안 규격을 802.11a, 802.11b, 802.11g, 802.11n, 802.11ac 등의 알파벳을 붙여 사용했다. Wi-Fi 규격에 대해 아는 사람이라면 어떤 것이 더 빠른 것인지 쉽게 알 수 있겠지만, 전혀 관심 없는 사람이라면 이것이 무슨 뜻인지 알지 못한다.

     

    순서를 보면 a, b, g, n, ac 순인데 알파벳 순서이긴 하지만, 중간에 나왔다가 채용되지 못한 규격이 있어 이빨 빠진 형태가 됐다. z까지 한 바퀴를 다 돌은 후에는 앞에 a를 다시 붙여 표기했는데 aa와 ab는 기존 a와 b에 혼동이 올 수 있어 제외되고 ac가 됐다. 똑같은 의미에서 802.11ax도 중간에 채용되지 못한 버전이 빠진 후 나온 새로운 규격인 셈이다.

     

    ▲ Wi-Fi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부채꼴 아이콘.

     

     

    알기 쉽게 이름 변경

     

    지난 2018년 10월 3일, Wi-Fi 연합(Alliance)은 차세대 Wi-Fi 규격인 IEEE 802.11ax의 명칭을 ‘Wi-Fi 6’로 정했다. 또한, 이젠 세대 Wi-Fi 이름도 숫자를 붙여 알아보기 쉽게 변경하기로 했다. Wi-Fi 연합은 “사용자가 최신 Wi-Fi 환경을 제공하는 기기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단순하게 세대 이름을 도입했다”라고 밝혔다.

     

    따라서 IEEE 802.11a는 ‘Wi-Fi 1’, IEEE 802.11b는 ‘Wi-Fi 2’, IEEE 802.11g는 ‘Wi-Fi 3’, IEEE 802.11n은 ‘Wi-Fi 4’, IEEE 802.11ac는 ‘Wi-Fi 5’, IEEE 802.11ax는 ‘Wi-Fi 6’로 정리됐다. 또한, 어느 쪽이 무조건 맞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한동안은 두 가지 표현이 병행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러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제조업체에서는 숫자 표현 방식이 사용자가 쉽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이미 마케팅 전략에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숫자 표현 방식으로 변경되는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Wi-Fi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부채꼴 아이콘.

     

     

    차세대 기술, Wi-Fi 6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Wi-Fi 규격은 Wi-Fi 5(IEEE 802.11ac)이지만, 차세대 규격인 Wi-Fi 6(IEEE 802.11ax)의 등장으로 최고 속도의 자리는 내어주게 됐다. 특히 Wi-Fi 6는 다중 접속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그동안 공공 Wi-Fi 환경에서 속 터지는 속도를 제공하던 것을 해결해줄 것으로 보인다.

     

    또한, 4K UHD 동영상, VR 미디어, 대용량 게임 등의 고용량 미디어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서 공유기가 처리해야 할 트래픽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Wi-Fi 6에서는 늘어나는 트래픽에 대한 처리율을 향상시키는 여러 기술들과 다중 기기의 접속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접속을 보장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접목됐다.

     

    Wi-Fi 6는 최대 10Gbps의 속도를 지원하며 1Gbps의 속도를 더 넓은 커버리지와 낮은 레이턴시를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1Gbps 유선 인터넷도 제대로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10Gbps 속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국내에서는 2018년 1분기, 세계 최초로 KT와 SK텔레콤이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시즌에 맞춰 시험 서비스를 했다. 2018년 3분기에는 KT와 SK텔레콤이 세계 최초로 Wi-Fi 6를 상용화하였다. KT는 2018년 8월부터 스타벅스 매장에 Wi-Fi 6를 통해 링크 속도 10Gbps의 ‘KT 10기가 와이파이’를, SK텔레콤은 2018년 9월 17일부터 ‘T 와이파이 AX’를 서비스하고 있다.

     

    그동안 일반인이 접할 수 있는 기기 중에서 Wi-Fi 6를 지원하는 것은 공유기 정도였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무선 기기는 없었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갤럭시 S10을 시작으로 다양한 스마트폰과 노트북에서 Wi-Fi 6를 지원할 예정이다.

     

    ▲ 삼성전자 갤럭시 S10은 Wi-Fi 6를 지원하는 최초의 스마트폰이다.
    ▲ 현재 Wi-Fi 6를 지원하는 기기는 특정 고성능 공유기만 있다.

     

     

    OFDMA 기술이란?

     

    Wi-Fi 6의 중요 기술 중에는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사용자 구분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가 꼽힌다. Wi-Fi 5까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했는데 데이터 전송이 순차적으로 되기 때문에 다음 전송이 진행될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하지만 Wi-Fi 6의 OFDMA는 큰 채널을 더 작은 하위 채널로 분할하여 공유기가 여러 개의 데이터 패킷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어 많은 장치에 대한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OFDMA를 지능적으로 쌓아서 같은 양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대기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지연 시간을 줄이며 더 많은 장치를 네트워크에 추가할 수 있다.

     

    특히 IoT 장치들은 주로 작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OFDMA가 이러한 패킷을 더 효율적으로 스케줄링 할 수 있고 스트리밍, 게임 및 기타 데이터에 민감한 응용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여러 스마트 홈 장치들을 연결할 수 있다.

     

    OFDMA는 네트워크 용량 향상 외에도 다양한 장점이 있다. 먼저 데이터 송수신을 더 빨리 끝낼 수 있는 만큼 무선 기기의 배터리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작은 데이터 패킷에 대해 더 작은 하위 채널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가 전송 전력을 증가시켜 더 넓은 무선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 전송에 전체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더 빠르고 효율적인 Wi-Fi 네트워크가 가능하다. 수천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Wi-Fi를 요구하는 대규모 쇼핑몰이나 학교, 병원, 경기장 등 매우 밀집된 환경에 대한 요구를 처리하는 데 유리하다. 게다가 Wi-Fi 6를 지하는 공유기 1대가 수용하는 무선 기기 수가 더 많아 공유기 설치도 줄일 수 있다.

     

    ▲ OFDM은 한 번에 1개의 데이터만 전송 가능하지만, OFDMA는 동시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임병선 기자

    신고
    뉴스 인기 게시글
    전체 댓글

    0/1,000

    등록

    컴퓨터 뉴스의 다른 글

    로그인 하고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쇼핑지식 인기글

    로그인 하고 에누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에누리TV

    더보기

    커뮤니티 인기글

    더보기

    BEST 구매가이드

    더보기

    사용자 리뷰

    더보기

    투데이 HOT CLIP

    더보기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