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비스 회사' 애플, 앱스토어 악재에 발목 잡히나

    • 매일경제 로고

    • 2019-05-14

    • 조회 : 249

    • 댓글 : 0

    비밀번호 입력 닫기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확인

    [지디넷코리아]

    ‘서비스 회사’로 변신을 꽤하고 있는 애플이 앱스토어 악재에 휘말렸다. 아이폰 이용자들도 반독점 소송을 제기할 권리가 있다는 판결 때문이다.

     


     

    미국 연방대법원은 13일(현지시간) ‘페퍼 대 애플’ 소송에서 “아이폰 이용자도 앱 최초 구매자로 봐야 한다”고 판결했다. 이 판결에 따라 아이폰 이용자들도 애플을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할 권리를 갖게 됐다.

     


     

    물론 이번 판결은 애플이 앱스토어의 시장 독점적 권리를 행사했다는 데 초점이 맞춰진 건 아니다. 아이폰 이용자들 역시 직접 당사자로 애플을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정도 판결이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가 지난 3월 애플TV를 비롯한 서비스 사업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씨넷)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판결은 애플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앱스토어 비즈니스 관행을 둘러싼 연쇄 반독점 소송에 휘말릴 가능성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 씨넷 "대형 IT기업 분할론에 힘 실릴수도"

     


     

    애플은 최근 몇 년 동안 서비스 사업을 키우기 위해 많은 공을 들였다.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 상태에 다다르면서 이젠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사업을 키워야만 한다는 판단 때문이다.

     


     

    애플은 지난 달 분기 실적 발표 때 “3월말 현재 3억9천만 명의 유료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2020년까지는 가입자 수가 5억 명을 넘어설 것이라고 주장했다.

     


     

    3월 분기 서비스 매출도 115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 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도 16% 상승했다.

     


     

    문제는 앱스토어가 애플 서비스 사업의 핵심이란 점이다. 물론 애플뮤직이나 아이클라우드 같은 다른 서비스 사업도 있다. 하지만 앱스토어 만큼 규모가 큰 곳은 없다.(사진=씨넷)

     

    이런 핵심 사업 부문을 놓고 고객인 아이폰 이용자들과 반독점 소송을 진행하는 불편한 상황을 연출할 경우 여러 가지 측면에서 애플에겐 좋지 않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미국 씨넷은 또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위협 뿐 아니라 최근 정가에서 제기되고 있는 대형 IT 기업 분할론에도 힘을 실어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민주당 차기 대권 주자 중 한 명인 엘리자베스 워런 의원은 지난 3월 애플, 페이스북 같은 기업들을 분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애플은 “앱스토어가 지나치게 많은 경쟁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면서 별도 회사로 분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앱스토어의 철저한 통제정책, 반독점 도마 위에 오를 수도

     


     

    실제로 앱스토어 정책은 논란이 될 부분들이 적지 않다.

     


     

    앱스토어를 이용하려는 개발자들은 매년 99달러를 애플에 지불해야 한다. 그 대가로 개발자들은 앱스토어에서 앱을 판매할 수 있다.

     


     

    이 때 가격 책정은 개발자들이 한다. 애플은 책정된 가격의 30%를 수수료로 받아간다. 구독 모델일 경우 첫 해만 30%를 적용하고 이듬해부터는 15% 수수료를 받는다.

     


     

    애플은 “앱 가격 책정은 개발자들이 하고, 애플은 대리인 역할만 한다”고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미국 씨넷에 따르면 애플은 또 개발자들이 앱스토어 이외에서 아이폰 앱을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아이폰 이용자들 역시 애플 앱스토어를 통해서만 앱을 내려받을 수 있다.

     


     

    반면 구글의 안드로이드는 다르다. 플레이 스토어 뿐 아니라 삼성, 아마존 등이 운영하는 자체 스토어에서도 앱을 내려받을 수 있다. 일부 안드로이드 개발자들은 소비자들에게 직접 공급하기도 한다.

     


     

    앞으로 반독점 소송이 제기될 경우 이런 부분들이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 이렇게 될 경우 애플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꼽고 있는 서비스 사업도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

     




    신고
    뉴스 인기 게시글
    전체 댓글

    0/1,000

    등록

    디지털/가전 뉴스의 다른 글

    로그인 하고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쇼핑지식 인기글

    로그인 하고 에누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에누리TV

    더보기

    커뮤니티 인기글

    더보기

    BEST 구매가이드

    더보기

    사용자 리뷰

    더보기

    투데이 HOT CLIP

    더보기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