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워치' 비침습적 혈당 모니터링 상용화까지 3~7년 소요 전망

    • 매일경제 로고

    • 2023-03-29

    • 조회 : 632

    • 댓글 : 2

    비밀번호 입력 닫기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확인




    애플이 개발 중인 애플워치 시리즈용 비침습적 혈당 모니터링 기술이 상용화까지 3~7년이 소요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6일(현지시간) 맥루머스 등 외신은 블룸버그통신 마크 거먼의 파워온 뉴스레터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거먼은 보고서에서 "애플이 이 기술을 시장에 출시하려면 알고리즘과 온보드 센서를 완성해야 하며, 애플워치라는 작고 얇은 패키지에 들어갈 수 있는 모듈 크기로 소형화 시켜야 한다"면서 "이 개발 과정이 적어도 3~7년 가량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애플은 고(故) 스티브 잡스 지시에 따라 2010년 레어라이트(RareLight)를 인수한 후 관련 기술 개발을 시작했으며 현재 '구글X'와 유사한 비밀 연구소인 XDG(Exploratory Design Group)에서 수백 명의 엔지니어들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이 개발 중인 비침습적 혈당 모니터링 기술은 바늘로 피부를 찌를 필요 없이 광 흡수 분광법을 사용해 피부 아래에 레이저에서 빛을 비추어 혈당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실리콘 포토닉스 칩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파악된다.


    애플은 지난 10년간 수백 명을 대상으로 이 기술을 시험해 왔다. 애플의 초기 목표 중 하나는 당뇨 전 단계 사람들에게 경고해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애플은 관련 기술에 대한 정부 승인을 받기 위해 초기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케이벤치 기자 / pr@kbench.com




    신고
    뉴스 인기 게시글
    전체 댓글

    0/1,000

    등록
    • 등록순
    • 최신순

    디지털/가전 뉴스의 다른 글

    로그인 하고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쇼핑지식 인기글

    로그인 하고 에누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에누리TV

    더보기

    커뮤니티 인기글

    더보기

    BEST 구매가이드

    더보기

    사용자 리뷰

    더보기

    투데이 HOT CLIP

    더보기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