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제2형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연구팀은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당뇨병 연구에 참가한 제2형 당뇨병 환자 3325명과 당뇨가 없는 3897명의 건강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담배를 피운 적이 있는 사람들은 비흡연자보다 중증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SIRD)에 걸릴 확률이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에 걸리면 인슐린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혈당을 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은 인슐린 부족을 특징으로 하는 중증 인슐린 결핍성 당뇨병(SIDD) 위험은 20%, 경증 비만성 당뇨병(MOD) 위험은 29%, 경증 노화 관련 당뇨병(MARD) 위험은 27%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심한 흡연은 훨씬 더 높은 위험을 유발했다. 중증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은 2.4배, 중증 인슐린 결핍성 당뇨병은 52%, 경증 비만성 당뇨병은 57%, 경증 노화 관련 당뇨병은 45% 증가했다. 연구팀은 과도한 흡연은 15년 동안 하루에 20개비의 담배를 피운 경우로 정했다.
미국 건강·의료 매체 ‘헬스데이(Healthday)’에 따르면 연구팀은 “전반적으로 흡연은 인슐린 저항성 제2형 당뇨병 사례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에미 키센달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담배는 인슐린에 반응하는 신체의 능력을 손상시켜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당뇨병 예방에 있어 금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흡연은 그 특성에 관계없이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Smoking increases the risk of type 2 diabetes, regardless of its characteristics)’라는 제목으로 지난 13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럽 당뇨병 연구 협회(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 연례 회의에서 발표됐다.
흡연은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 폐암을 비롯해 구강암, 식도암, 심지어는 대장암까지 각종 암 위험을 높이고, 심장과 혈관을 물론 신체 모든 부위를 손상시키고 고혈압 위험을 높이는 등 수많은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렇다면 담배를 끊으면 어떤 좋은 일이 생길까.
미국 CNN 방송 등의 자료에 따르면 담배를 끊으면 심장병 위험이 크게 줄고, 혈압과 맥박이 정상화되며, 혈액 속 산소 농도가 증가한다. 또한 폐 기능이 향상되어 지구력이 좋아지고, 미각이 회복되어 입맛이 돌아오며, 피부 개선 효과도 볼 수 있다. 긍정적인 신체 변화 외에도 금연으로 주변 환경이 청결해지고, 담배 값 절약과 같은 경제적 이득도 얻을 수 있다.
금연하면 나타나는 좋은 변화
신체 건강 개선=금연 후 심혈관 질환 위험이 크게 줄고, 심장 부담을 주는 혈압과 맥박이 정상화된다. 혈액 속 일산화탄소가 줄고 산소 농도가 증가하여 폐 기능이 향상되며, 육체적 활동 시 숨이 덜 차고 지구력이 좋아진다. 각종 암 발생 위험도 낮아진다.
치매 예방=뇌혈관 수축을 막아 뇌세포 손상을 예방하고, 혈액 순환 개선으로 치매 발병 확률을 낮출 수 있다.
피부 및 외모 개선=흡연으로 막혀 있던 혈류가 개선돼 피부가 맑아지고, 비타민A 감소로 인한 여드름 등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콜라겐 파괴가 줄고, 피부 건조함이 완화돼 피부 탄력과 생기가 되살아난다.
경제적 이득=매일 담배를 사는 비용을 아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상당한 금액을 절약할 수 있다. 담배꽁초나 냄새로부터 벗어나 주변 환경이 쾌적하고 청결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