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에서 개인 정보를 보호하려면…

    • 매일경제 로고

    • 2017-01-04

    • 조회 : 420

    • 댓글 : 0

    비밀번호 입력 닫기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확인

    Hacking_131029

     

    미국에서 국가 차원에서 국민 정보를 감시한 프리즘(PRISM) 사건이 발생하는 등 인터넷을 사용할 때 개인 정보가 침해될 가능성은 언제든 존재한다는 걸 보여준다. 개인 수준으로도 PC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인터넷 통신을 할 때 대책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뭘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른다. 이럴 때 도움이 될 만한 인터넷 상에서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쉬운 방법은 어떤 게 있을까.

     

    먼저 브라우저. 대부분 크롬이나 엣지,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파리 같은 브라우저를 이용한다. 설정에 따라 안전한 인터넷 서핑을 할 수 있다. 이들 주요 브라우저 가운데 개인 정보 보호 면에서 가장 뛰어난 선택이 될 수 있는 건 파이어폭스라고 한다. 주요 브라우저 외에는 크로미움(Chromium)을 기반으로 한 브라우저인 SR웨어 아이언(SRWare Iron)의 경우 구글 추적 기능을 모두 차단, 크롬보다 더 안전하게 쓸 수 있다. 브레이브(Brave)라는 브라우저 역시 광고와 추적 기능을 자동 차단, 일반 브라우저보다 안전하게 빠른 인터넷을 기대할 수 있다.

     

    tor_browser_170104_1

     

    브라우저에 따라 기능에 차이가 있지만 완벽하게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건 토르 브라우저(Tor Browser)다. 에드워드 스노든 역시 만일 토르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당신이 실수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토르 브라우저는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할 수 있도록 플러그인 같은 걸 제공하지 않는다.

     

    다음은 올바른 브라우저 확장 기능을 쓰라는 것이다. 디스커넥트(Disconnect)나 고스터리 트래커(Ghostery Tracker) 같은 확장 기능을 이용하면 주요 브라우저의 통신 안전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전자프런티어재단의 HTTP 에브리웨어(HTTPS Everywhere)를 추가하면 자동으로 HTTPS 페이지로 리다이렉션, 도청이나 웹 기반 공격을 방지할 수 있다.

     

    https_everywhere_170104_1

     

    다음은 검색 엔진을 바꾸는 것. 구글이나 빙 같은 검색엔진은 사용자 정보를 추적, 수집한다. 인터넷 검색량은 지난 3년 사이 3배나 높아졌다. 이젠 뭔가 궁금하면 무조건 인터넷 검색을 하는 세상이다. 검색 엔진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간단한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대책이 될 수 있다. 프라이버시 보호에 뛰어난 검색 엔진을 이용해 사용자를 전혀 추적할 수 없게 해주는 덕덕고(DuckDuckGo)나 개인 식별 정보를 제거해 구글 검색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스타트페이지(StartPage) 같은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startpage_170104_1

     

    다음은 메신저를 암호화하는 것이다. 수많은 메신저 앱이 암호화를 강조한다. 하지만 보안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암호화되어 안전하다고 꼽히는 앱은 시그널(Signal)이다. 이 앱을 통해 보낸 메시지는 누군가 가로 채더라도 해독할 수 없다. 또 시그널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암호화를 채택한 왓츠앱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암호화 통신은 상대방도 암호화되어 있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따라서 주위 친구나 가족에게 암호화된 메신저 앱 사용을 권하는 게 중요하다.

     

    whatsapp_131126_0

     

    다음은 이메일. 자주 사용하는 이메일 계정에는 종종 친구 연락처와 자신의 주소 등 개인 정보에 대한 링크가 등장한다. 이메일 공급자는 광고 데이터 수집을 위해 이메일 내용을 스캔할 가능성도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월 몇 달러 정도를 내면 보안 메일 박스를 설정할 수 있는 프로톤메일(protonmail), 투타노타(Tutanota), 런박스(Runbox), 포스테오(posteo)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서비스는 모두 강력한 개인 정보 보호를 바탕으로 두고 있다.

     

    protonmail_170104_1

     

    다음은 VPN이다. 인터넷에 연결하면 IP 주소 등 다양한 개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인터넷 제공자는 이런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을 파악하고 있다. 이럴 때 VPN을 이용하면 이런 관음증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VPN(Virtual Private Network)은 공적 네트워크를 이용해 가상 연결을 만들고 안전하게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VPN 연결을 지원하는 서비스는 PIA(Private Internet Access), 노드VPN(NordVPN), IP배니시(IPVanish) 같은 게 있다. 물론 월 요금을 내야 하지만 VPN 연결은 수많은 개인 정보 보호를 기대할 수 있는 투자가 될 수 있다.

     

    nordvpn_170104_1

     

    앞서 소개한 앱이나 서비스가 무조건 프라이버시와 100% 보안을 보장할 수 있는 건 물론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개인 정보 보호를 할 수 있는 올바른 방향인 건 분명하다. 물론 습관도 필요하다. 인터넷을 이용할 때에는 경계심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개인 정보를 기입할 때에는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인지 여부를 항상 확인하는 게 좋다. 뭔가 올릴 때에는 누가 보는 것인지 자신이 어떤 걸 올리고 있는지 항상 먼저 생각을 해보는 것도 중요하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석원 기자

    신고
    뉴스 인기 게시글
    전체 댓글

    0/1,000

    등록

    컴퓨터 뉴스의 다른 글

    로그인 하고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쇼핑지식 인기글

    로그인 하고 에누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에누리TV

    더보기

    커뮤니티 인기글

    더보기

    BEST 구매가이드

    더보기

    사용자 리뷰

    더보기

    투데이 HOT CLIP

    더보기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