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업익 1조 돌파' 현대차, 올 친환경차 비중 대폭 늘린다

    • 매일경제 로고

    • 2019-07-22

    • 조회 : 215

    • 댓글 : 0

    비밀번호 입력 닫기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확인

    (지디넷코리아=박영민 기자)현대자동차가 올해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차 판매 비중을 대폭 늘린다. 또 최근 부진한 중국 시장에서 중장기적인 판매 기반을 닦고, 아세안 등 신흥 시장 진출도 적극적으로 검토키로 했다.

    구자용 현대차 IR담당 전무는 22일 올해 2분기 실적발표 이후 진행된 컨퍼런스콜에서 "친환경차 판매 비중이 2015년 0.9% 수준에서 올해 4.6%까지 확대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당사 친환경차 판매량은 2015년 이후 연평균 48% 수준의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며 "최근 유럽과 미국에서 탄소배출 규제가 엄격해지고, 중국은 연비와 환경차 의무생산 규제까지 제시하는 등 글로벌 시장 규제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암동 월드컵경기장에서 충전중인 미디어 시승용 코나 일렉트릭 전기차 (사진=지디넷코리아)

    현대차는 오는 2025년까지 총 26개 모델의 친환경차를 선보여 약 100만대 수준의 판매량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전기차인 코나EV 등 가격 경쟁력을 내세운 모델로 판매를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전기차·수소전기차(FCEV) 등 완성차 판매에 그치지 않고 관련 인프라까지 아우르겠다는 게 현대차의 계획이다.

    구 전무는 "친환경차는 아직 판매가 미미한 수준이어서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에는 부정적"이라면서도 "증가 중인 친환경차 판매와 당사가 추진하는 사업 경쟁력 강화를 통해 시일 내에 환경차 흑자 전환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전기차 플랫폼은 부품 공용화와 통합 구매력 향상, 재료비 절감도 기대되는 상황"이라며 "수소전기차는 충전 인프라 등 밸류체인을 확대해 다가올 수소사회 리더십을 확보하겠다"고 덧붙였다.

    신형 쏘나타 주행 모습 (사진=현대차)

    최대 수요처인 중국 시장에 대해서는 "중장기적으로 약 100만 대 수준의 판매를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 전무는 "무분별한 판촉과 인센티브 확대를 통한 판매 목표 달성보다는, 중장기적인 안목으로 판매 기반을 마련하는 게 더 우선"이라며 "생산 합리화, 딜러 유출 방지, 상품 경쟁력을 갖춘 신차 출시 등 세 가지 전략을 통해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는 생산 합리화의 일환으로 중국 베이징 1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우수한 딜러 유출을 방지키 위해서 재고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올해 중국에서 출시가 예정된 'ix25', '쏘나타' 등 상품성이 높은 모델을 통해 수익성을 확보할 방침이다. 올해 중국 시장 판매 목표량은 86만 대다.

    현대차 팰리세이드 (사진=지디넷코리아)

    미국 시장에 대해서는 국내 SUV 시장에서 흥행 몰이 중인 '팰리세이드' 판매를 통해 올해를 '턴어라운드(Turn-around)'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펠리세이드는 10월부터 미국 시장에서 판매될 예정이다.

    구 전무는 "펠리세이드는 올해 미국에서 3만 대 판매를 예상하고 있다. 초기 시장 반응을 고려하면 연간 7만~8만대 신규 수요가 전망된다"면서 "시장 점유율은 4%로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펠리세이드 외에도 내년 이후 출시될 '엘란트라', '투싼' 등을 주력 모델로 육성할 것"이라며 "약 20% 성장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성장 가능성이 높은 아세안(ASEAN·동남아) 시장 진출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거점별 수요에 맞춰 최적의 생산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아직 공장 구축 계획 등 자세한 사항은 알려지지 않았다.

    한편, 현대차는 지난 2분기에 연결기준으로 잠정 매출 26조9천664억원, 영업이익 1조2천377억원을 기록했다고 이날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1%, 30.2% 늘었다. 영업이익이 1조원 대로 진입한 것은 지난 2017년 3분기(1조2천42억원) 이후 7분기 만이다.




    박영민 기자(pym@zdnet.co.kr)



    박영민/pym@zdnet.co.kr/기자

    신고
    뉴스 인기 게시글
    전체 댓글

    0/1,000

    등록

    자동차/레저 뉴스의 다른 글

    로그인 하고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쇼핑지식 인기글

    로그인 하고 에누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에누리TV

    더보기

    커뮤니티 인기글

    더보기

    BEST 구매가이드

    더보기

    사용자 리뷰

    더보기

    투데이 HOT CLIP

    더보기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