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년 2월 21일 오후 9시 많은 유저가 기다리던 Nvidia사의 최신 그래픽 코어인 G94 코어가 발표되었습니다. 이 G94 코어는 메인스트림급의 그래픽 카드인 지포스 9600GT 그래픽 카드에 들어가는 코어로 65나노의 제조공정으로 만들어진 Nvidia의 최신 코어입니다. 이미 외국의 PC관련 사이트에 엔비디아 지포스 9600GT의 성능 테스트도 많이 나와있고 이를 기준으로 엔비디아 지포스 9600GT의 성능을 단순하게 평가해 본다면 기존의 엔비디아 지포스 8800GT와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픽 카드가 바로 엔비디아 지포스 9600GT 그래픽 카드입니다. 성능은 이미 외국 사이트에서 나온 리뷰를 보신 분들이나 이와 비슷한 정보를 접하신 분들은 모두 알고 계시겠지만 Nvidia사의 최신 그래픽 카드인 9600GT는 스트림 프로세서가 96개로 기존의 8800GT나 8800GS 보다도 스트림 프로세서가 더 적은 수가 들어가 있습니다. 하지만 엔비디아 지포스 9600GT가 차후 그래픽 카드의 메인스트림급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스트림 프로세서의 갯수는 이해가 되는 부분입니다. 또한 기존의 8800GT나 8800GS에서부터 지원되었던 VP2, BSP/AES128 Engine이 포함된 2세대 Pure Video HD가 지원이 되므로 HD-DVD나 블루레이 그리고 H.264 등의 코덱으로 압축된 HD 화질의 동영상 재생시 엔비디아 지포스 9600GT 그래픽 카드에서 하드웨어적인 가속 기능으로 CPU의 의존도를 대폭 낮춰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이 하락되지 않습니다. Nvidia의 공식 파트너인 렉스테크놀러지에서도 공식 파트너로서 당연히 9600GT 그래픽 카드가 출시가 되었습니다. 렉스테크놀러지의 8800GT 그래픽 카드의 이름은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기존의 블랙라벨 시리즈로 출시되는 그래픽 카드입니다.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는 9600GT 그래픽 카드가 초기이지만 기본적인 650MHz의 코어클럭을 700MHz까지 끌어올려 출시되는 그래픽 카드입니다. 당연히 그래픽 메모리도 100MHz나 더 끌어올려 1000(2000)Mhz으로 동작하도록 오버 클럭이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쿨링은 공랭 방식의 뛰어난 쿨링 성능을 보여주는 제로썸의 HC92 Cu 블랙 VGA 쿨러가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쿨링을 해주니 발열 걱정도 없는 차세대 메인스트림 그래픽 카드입니다.
지금부터 제가 사용해본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에 대하여 적어보려 합니다. 1부는 외관편으로 외관상 보이는 부분을 주로 다루었으며, 2부에서 성능편으로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이 성능을 적었습니다. 다소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사용하는 환경이 다를수 있으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스펙
64개 |
700 Mhz |
1750 Mhz |
1000(2000) Mhz |
GDDR3 512MB |
256 bit |
HDMI Port : 1 개 Display Port : 1개 Dual Link DVI-I : 2 개 D-SUB : 변환 젠더 1 개로 지원 |
PCI-Express 2.0 (x16 지원) |
 ▲ 박스의 내용물
박스안에는 이동시의 충격에서 제품을 보호할수 있도록 2중 구조로 되어 있으며 지방에 사는 유저 입장에서 박스의 포장 상태가 나쁘면 제품이 파손되는 경우도 있는데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박스 패키징은 그래픽 카드가 중앙에 위치해있어 외부의 충격에서 최대한 그래픽 카드를 보호할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외에 충격에 강하거나 파손이 되도 큰 문제가 안되는 설명서나 변환 젠더등이 외곽에 위치해 있는 구조입니다. 내용물로는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와 SPDIF 출력용 케이블, DVI D-SUB 변환 젠더, 메인보드와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를 연결하는 바이패스용 사운드 케이블, 제로썸 HC92 Cu VGA 쿨러용 팬 콘트롤러, 드라이버 CD, 그래픽 카드 설명서가 들어 있습니다. 기존에 출시되었던 그래픽 카드들과 조금 다른 구성을 볼수 있는데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는 바로 SPDIF 출력이 되는 그래픽 카드라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SPDIF 출력용 케이블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렉스텍(RexTech)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는 기판이 녹색 기판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제로썸에서 8800 시리즈의 쿨링을 위해서 만든 HC92 Cu 허리케인 VGA 쿨러를 사용하여 9600GT 코어의 발열을 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인 길이는 무려 22.86 cm ( 9 Inch )로 상당히 긴 그래픽 카드입니다. 제로썸 HC92 Cu 허리케인 쿨러를 사용하여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전원부 부분까지 바람이 전달되어 전원부의 쿨링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블랙라벨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기판도 블랙 색상이면 좋겠지만 블랙 색상의 기판을 사용할 경우 기판의 오류를 찾기가 힘들다고 들었습니다. 아마도 그런 이유에서 블랙 기판이 아닌 녹색 기판이나 파란색 기판을 사용하는것 같습니다.
 ▲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의 뒷면
렉스텍(RexTech)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뒷면을 보면 제로썸 HC92 Cu 허리케인 쿨러를 흔들리지 않고 VGA 코어에 잘 부착되도록 고정하는 나사가 핸드 스크류 방식으로 되어있어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기판과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플라스틱 링으로 핸드 스크류 나사와 기판 사이에 들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납(Pb), 수은(Hg), 카드뮴(Cd), 육가크롬의 중금속과 브롬계물난연제인 PPB와 PBDE의 사용을 하지 않았다는 RoHS 인증 스티커가 부착이 되어있어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가 환경을 생각하는 친환경 제품임을 알수 있습니다.
 ▲ 출력부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출력부는 기존의 그래픽 카드들과 조금 다른 구성으로 되어 있습니다. 바로 디스플레이 포트와 SPDIF 디지털 입출력 단자가 지원이 된다는 점입니다. 현재의 DVI 포트를 대체할 차세대 그래픽 출력 포트인 디스플레이 포트가 지원된다는 것은 차후 디스플레이 포트를 지원하는 모니터에도 그냥 사용할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죠. 그리고 현장감있는 사운드 출력을 위한 SPDIF 포트가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만의 특징이라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HDMI 출력 포트와 두개의 DVI 포트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출력부 구성은 현재는 물론이고 차후까지 지원이 된다는 점에서 마음에 드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잠깐> 디스플레이 포트 : 기존의 HDMI가 가지고 있던 라이센스나 트랜스미터, 리시버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다이렉트로 LCD에 연결이 되는 차세대 영상 출력 기술입니다. 즉 단가적으로도 저렴해진 출력 포트라 할수 있으며 LCD 모니터도 AD 보드를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로 연결이 되는 기술입니다. 현재는 HDMI와 DVI를 모두 지원하므로 단가의 하락이 있지는 않지만 차후 완전해 디스플레이 포트로 넘어간다면 제조 단가도 줄어들고 LCD 모니터도 AD 보드가 필요 없어지므로 여러모로 편리한 기술입니다.
 ▲ SLI / PCI-E 2.0(@ 16X)
렉스텍(RexTech)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는 초당 5GB 이상의 전송속도를 보여주는 PCI-Express 2.0을 지원하여 더욱더 빠른 그래픽 처리와 성능을 제공하므로 게임 환경에서 빠른 속도감으로 게임을 즐길수 있습니다. PCI-Express 2.0을 지원하지만 현재 대중적으로 많이 퍼져있는 PCI-Express X16도 호환이 되므로 굳이 메인보드를 교체할 필요는 없다고 느껴집니다. 그리고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를 하나로 사용해도 충분한 성능을 보여주지만 2개의 동일한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여 성능을 더욱더 높일수 있는 Nvidia의 SLI 컨넥터가 준비되어 있어 2개의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를 연결하여 고성능의 게이밍 머신을 만드는데도 유용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 전원부
렉스텍(RexTech)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전원부는 상당히 깔끔하게 정렬이 잘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캐퍼시터는 캔형을 사용하여 조금더 장기간 사용할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전원부를 제어하는 칩으로는 Richtek사의 RT8802A 칩이 사용되었으며 이 전원부 제어칩은 5개의 Phase까지 구성할수 있는 칩입니다.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는 3+1 Phase 전원부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이정도의 전원부라면 상당히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수 있으므로 왠만한 오버클럭에도 강한 구성으로 보여집니다.
 ▲ 바이오스 롬 / HDCP 키롬
디지털 보호 기술이 적용된 블루레이, HD-DVD 영화는 드라이브에서 CPU로 보내져 비디오, 오디오, 서브 픽쳐로 출력되고, 비디오 신호는 다시 그래픽 카드를 통해 디지털 출력으로 모니터로 보여지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는 디지털 보호 기술의 인증키가 필요하게 됩니다. 이러한 인증키가 보관된 칩을 HDCP 키롬이라 부르는데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는 Atmel사의 AT24C16B HDCP 키롬이 실장 되어있어 리핑이 되지않은 원판의 블루레이, HD-DVD를 재생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그리고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에 사용된 바이오스 롬은 Chinis Technology Corporation사의 512Kbit Pm25LV512 칩이 사용되었습니다.

 ▲ 9600GT(G94-300-A1) 코어
렉스텍(RexTech)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에는 Nvidia사의 최신 GPU인 9600GT(G94-300-A1) 코어가 사용되었습니다. 이 8800GT(G94-300-A1) 코어는 65 nm 공정으로 만들어져 발열이 효과적으로 줄어들었으며 64개의 쉐이더와 4개의 ROPs로 구성된 GPU입니다. 기본 코어 클럭은 650Mhz, 쉐이더 클럭 1.625GHz, 메모리 클럭 1.8GHz로 작동되는 제품입니다. 그러나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에 사용된 코어는 코어 클럭 900MHz, 쉐이더 클럭 1.75GHz, 메모리 클럭 2000MHz로 오버가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9600GT(G94-300-A1) 코어가 갈리거나 하는 문제등으로 부터 코어를 보호하기위한 가이드가 부착이 되어 있습니다.
 ▲ 삼성의 GDDR3 메모리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에 사용된 메모리는 삼성의 K4J5232QE-BJ1A GDDR3 메모리입니다. 삼성의 K4J5232QE-BJ1A GDDR3 메모리는 2.0GHz, 1.9v으로 작동되는 메모리입니다. 지원 속도가 2GHz이므로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는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서 최적의 클럭 성능으로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 제로썸 HC92 Cu 허리케인 쿨러
렉스텍(RexTech)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에 사용된 GPU 쿨러는 제로썸의 HC92 Cu 허리케인 쿨러로 이 HC92 Cu 허리케인 쿨러는 에어 플로우 가이드가 은색이지만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에 사용된 제품은 블랙색상의 쿨러를 사용하였습니다. 제로썸 HC92 Cu 허리케인 쿨러의 래핑 상태는 거울같은 래핑 상태는 아니지만 상당히 양호한 래핑 상태를 보여줍니다. 서멀 그리스의 도포양도 적당하여 최적의 쿨링 성능을 보여주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제로썸 HC92 Cu 허리케인 쿨러는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전체적인 부분이 쿨링이 가능한 크기라 발열은 걱정할것 없습니다.
잠깐> 제로썸 HC92-Cu 허리케인 쿨러는 이미 한차례 사용기를 적었습니다. 그렇기에 여기에서는 간단한 성능 정도만 적겠습니다. 자세한 사용기는 아래를 클릭하여 보시길 바랍니다.
 ▲ 제로썸 HC92 Cu 허리케인 쿨러의 3가지 모드
위 사진은 이미 한차례 사용기를 적었던 허리케인이 식혀준다. ZEROtherm의 Hurricane HC92 Cu VGA 쿨러의 사용기에서 뽑아왔습니다. 위 사진만 봐도 아시겠지만 에어 플로우 가이드를 제거하면 최고 성능으로 동작을 하며 쿨러를 제거하면 완전한 무소음 쿨러로 작동이 되는 VGA 쿨러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셋팅으로 원하는 환경으로 만들수 있다는 특징이 있는 쿨러입니다.
 ▲ 제로썸 HC92 Cu 허리케인 쿨러의 팬 콘트롤러
제로썸 HC92 Cu 허리케인 쿨러는 팬 콘트롤러가 기본적으로 제공이 되는데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에는 1000개 한정으로 팬 콘트롤러가 제공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LED가 장착된 쿨러도 1000개 한정으로 판매가 된답니다. 팬 콘트롤러의 컨넥터는 2개가 준비되어 있는데 하나는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에 연결하고 하나는 메인보드의 케이스팬 컨넥터에 연결하면 됩니다. 팬 콘트롤러는 좌우로 돌려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줍니다. 만약 팬 콘트롤러를 사용하지 않을경우 제로썸 HC93 Cu 쿨러의 쿨링팬이 최고속도로 동작을 하여 쿨링 성능은 뛰어나지만 소음도 상당하다는걸 감안하시고 꼭 팬 콘트롤러를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1000개 한정판이 모두 소진이 되면 2200RPM으로 고정된 제로썸 HC92 Cu 쿨러가 장착되어 나온다고 하니 팬 콘트롤러가 불편한 유저는 차후 출시되는 제품을 선택하면 될것입니다.

지금까지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포장 상태와 외관등을 살펴 보았습니다. 차세대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카드로 자리잡을 Nvidia사의 최신 코어인 9600GT(G94-300-A1) 코어를 사용한 그래픽 카드이고 더군다나 코어 클럭을 700Mhz까지 오버 클럭이 되어있는 그래픽 카드입니다.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전체적인 길이를 감안하면 슬림 케이스나 HTPC용 케이스 그리고 베어본 케이스등에는 장착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울것 같습니다.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발열을 해결해줄 제로썸 HC92 Cu 허리케인 쿨러는 2.5슬롯을 차지하는 다소 두꺼운 VGA 쿨러이긴 합니다만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카드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대다수의 사용자가 싱글로 사용을 할것이고 SLI로 역어 사용하려는 사용자들은 쿨러의 간섭을 염려해야 할것 같습니다. 테스트용 메인보드가 아닌 다른 메인보드에 살짝 장착해 보니 조금 빡빡하게 SLI 구성이 가능해 보이더군요.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출력부를 보면 상당히 진보된 구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출시되는 그래픽 카드를 보면 DVI 포트 2개 + HDMI(S-video)의 구성으로 되어있는데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는 DVI 포트 2개 + HDMI + Display Port + SPDIF 구성으로 되어있어 차세대 영상 출력을 지원하고 SPDIF 단자를 이용하여 고음질의 사운드 출력까지 가능하도록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2008년 2월 21일날 출시되는 대다수의 9600GT 그래픽 카드들은 비슷한 레이아웃의 제품들이 출시가 될 것입니다. 이유는 기본적으로 레퍼런스 디자인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처음 출시되는 9600GT 그래픽 카드는 외관상 큰 차이점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앞으로 기본적인 레퍼런스 디자인 제품이 아니라 각각의 자사에 맞는 특징적인 9600GT 그래픽 카드들이 출시가 된다면 아마도 레이아웃도 차이가 나는 제품들이 많이 출시가 될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그리고 9600GT(G94-300-A1) 코어 자체가 65 nm 제조공정으로 제조가 되었기에 기존의 8800 시리즈에 비해 발열 부분에서 상당히 많은 해결이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조만간 변종의 9600GT 그래픽 카드가 많이 출시가 될것이라 예상이 됩니다.
2부에서는 렉스텍 Rexian 9600GT 512MB 블랙라벨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를 가지고 적어보겠습니다.
쩨바의 PC 하드웨어 블로그 https://rssoo.tistor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