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전기의 통신원리 | ||||||
무전기는 별도의 기지국 없이 음성 신호와 전파의 변환으로 송수신~! | ||||||
| ||||||
간단하게 무전기의 원리를 말하자면, 흡사 라디오 방송/수신과 같은 기능을 가진 기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송신 과정: 사용자의 음성 신호(진동)를 전파로 바꿔 특정한 주파수 대로 보내고
2. 수신 과정: 다른 사용자가 전파를 받아서 다시 음성 신호(진동)으로 바꾸어 듣는 것입니다.
많은 라디오 방송 중 원하는 방송을 듣기 위해 주파수를 맞춰주는 것처럼, 무전기 사용시에도
수많은 전파 중 혼선 없이 원하는 전파만을 주고 받기 위해 주파수를 이용합니다.
전파를 이용하므로, 무전기기의 종류와 수에 상관없이 주파수(=채널)만 일치하면 통신이 가능하고
손쉽게 다수가 교신할 수 있습니다. (단, 건물 등은 전파의 방해물로 작용하여 통신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 CQ(씨큐): 불특정 무전기(사용자)를 부르는 무전 용어. 응답이 가능한 무전기는 응답해달라는 의미입니다.
2. 무전기의 구성

- PTT(Push To Talk): 통화 버튼. 음성 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치로, 이 스위치를 누르고 있을 때에만
목소리를 전송하므로 전력 사용과 통신이 효율적
- 채널: 무전 통신을 위해 필수적인 주파수 대역을 편의상 구분하기 쉽도록 번호를 붙인 것
(TV 채널이나 라디오 주파수와 흡사한 개념)
- CALL: 호출 버튼. 같은 채널상의 (같은 주파수로 맞추어진) 무전기에 신호를 보내 부르는 기능을 함
- 모니터: 전파 수신시 노이즈(소음)를 제거하기 때문에 수신되는 음성(목소리)이 노이즈보다 작으면
음성을 들을 수 없게 되는데, 모니터 키를 누르면 노이즈 제거 없이 수신되는 전파를 출력하게 되고
치익- 하는 노이즈와 함께 음성을 들을 수 있음
- VOX: 음성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송신하고 음성 송신이 없을 때는 대기하여 전파를 수신함.
주로 핸즈프리 기능으로 활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