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탐폰 사용법과 주의해야 할 사항

    • 20131105

    • 조회 : 9,997

    • 댓글 : 0

    비밀번호 입력 닫기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확인

    '탐폰' 장시간 사용 시 독성쇼크 유발!
    1회 사용 시간은 8시간을 넘기지 말아야 하며, 4~8시간 마다 교체합니다.
    탐폰이란?

    손가락 크기 정도 흡수체를 질 내부로 주입하여 생리혈을 흡수하는 체내형 생리대

    사용 방법?

    편한 자세를 잡은 후 탐폰을 잡고 외통을 삽입한 뒤, 내통과 외통을 모두 부드럽게 제거

    주의 사항?
    적정 사용 시간을 지켜 가장 큰 부작용인 독성쇼크증후군(TSS)을 방지해야 함
     
    1. 탐폰 (체내형 생리대)

     탐폰은 손가락 크기 정도의 얇고 긴 흡수체를 질 내부로 주입하여

     몸 밖으로 배출되기 전에 흡수하는 방식의 체내형 생리대입니다.

     흡수체는 탈지면이나 레이온 또는 탈지면과 레이온의 혼방으로

     만들어지고, 제거용 손잡이 끈은 면사 또는 혼방사로 만들어집니다.

     탐폰은 흡수체와 제거용 손잡이 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왼쪽 그림과 같이 어플리케이터(체내 삽입을 도와주는

     보조 기구)를 이용해 흡수체를 삽입하는 형태가 주로 쓰입니다.

     그 외에 흡수체와 제거용 끈으로만 구성되어 흡수체를 손으로

     직접 밀어 넣어 사용하는 디지털 탐폰도 있으나 기본적인 사용

     방법은 동일합니다.

     

    2. 탐폰 사용 방법

    준비 단계

     손을 깨끗이 씻고 포장을 벗긴 후 제거용 끈이 내통 밖으로 나와 있는지,

     끈을 뒤로 살짝 당겨서 쉽게 끊어지지 않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끈이 없거나 단단히 고정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하지 마세요.)

     최대한 긴장을 풀고 가장 편안한 자세를 잡은 후 한 손은 탐폰을 잡고,

     다른 한 손은 질구를 벌려줍니다.

     외통의 둥근 끝을 질 입구에 대고, 탐폰을 잡고 있는 손가락이 몸에 닿을 때까지

     외통을 부드럽게 위쪽으로 비스듬히 삽입해줍니다.

     내통이 외통의 손잡이와 맞닿을 때까지(주사기를 밀어 넣듯이) 

     내통을 외통 안으로 끝까지 밀어줍니다. 

     외통의 손잡이를 잡고 내통과 외통을 모두 부드럽게 빼냅니다.

     탐폰이 삽입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제거용 끈이 몸 밖으로 나와 있는지 확인하세요.


    탐폰(체내형 생리대)

     

    3. 탐폰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

      어플리케이터(삽입관) 끝의 형태를 확인하고, 보관이나 휴대 중에 끝이 찌그러졌거나 갈라졌다면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취침 시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탐폰은 낮이나 밤에 상관없이 1회 삽입시 최대 8시간

      이내로 사용하셔야 합니다. 만일 8시간 이상 취침을 하실 경우에는 탐폰 대신 생리대를 사용하여 주세요.

     

      탐폰 사용의 가장 큰 부작용으로 독성쇼크증후군(TSS)을 들 수 있습니다.

      독성쇼크증후군이란 인체 내에서 독소를 만들어 내는 포도상구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질환으로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여 구분이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갑작스러운 고열, 근육통, 구토, 설사, 햇볕에

      탄 것과 같은 발진, 점막 출혈,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 때 즉시 치료를 받지 않으면 혈압저하 등

      쇼크 상태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만약 탐폰 사용 시,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탐폰을 제거하고 의사와 상의하시고, 과거에

      독성쇼크증후군의 경험이 있으신 분은 탐폰을 사용하시기 전에 의사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독성쇼크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탐폰 사용 전후로 손을 깨끗이 씻고, 개봉 후에는 바로 사용합니다.

       *1회 사용시간은 8시간을 넘기지 않아야 하며, 4~8시간마다 교체합니다.

       *사용 후 몸 안에 제거하지 않은 탐폰이 남아있지 않은지 반드시 확인합니다.

       *만약 사용 후 제거용 손잡이 끈이 빠져서 탐폰을 제거할 수 없을 때는 즉시 산부인과를 찾아

         제거하도록 합니다.

       *탐폰과 일반 생리대를 번갈아 사용하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4. 독성쇼크증후군(Toxic Shock Syndrome, TSS)

      탐폰 사용 시, 드물기는 하지만 독성쇼크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독성쇼크증후군은 여성, 남성, 그리고 어린이 모두에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략 질병의 절반 정도가 탐폰

      사용과 관련하여 나타나고 나머지는 남자, 어린이, 생리하지 않는 여성들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독성쇼크증후군은 치료가 가능하지만 조기 발견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며, 대부분의 사람은 포도상구균이

      방출하는 독소에 대해 자가 방어를 위한 항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탐폰 사용 중 갑작스러운 고열, 근육통, 구토, 설사, 햇볕에 탄 것과 같은 발진, 점막출혈, 어지러움 등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진단과 치료를 위해 즉시 탐폰을 제거한 후 의사에게 탐폰 사용 사실을 알리고 상의하세요.

    신고

    구매가이드 인기 게시글

    전체 댓글

    0/1,000

    등록

    구매가이드의 다른 글

    로그인 하고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로그인 하고 에누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에누리TV

    더보기

    커뮤니티 인기글

    더보기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사용자 리뷰

    더보기

    투데이 HOT CLIP

    더보기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