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는 단일회선, 단일 IP에서 PC가 인터넷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라우터는 내부외부를 가리지 않고 서버와 연결된 PC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합니다.
공유기
단일회선, 단일 IP에서 하위 클라이언트PC가 인터넷연결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로서
쉽게 말해서 NAT장비 입니다.
NAT기술은 부족한 공인IP를 사설IP로 분배하여 각 PC에 나우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라우터에 비해 가격이 많이 저렴합니다. 주로 가정에서 사용됩니다.
라우터
내부외부를 가리지 않고 각 연결된 서버와 클라이언트들간의 네트워크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여러종류의 패킷(송수신되는 데이타의 조각)들을 연결된 여러네트워크에 분산해서
보내고 다시 합쳐셔 받을수도 있는 고성능 고가의 장비입니다.
공유기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공유기보다 큰 범위에서 사용됩니다.
|
공유기 |
라우터 |
가격 |
비교적 저렴하다 |
대부분 고가의 장비다 |
사용 |
가정에서 주로 사용한다 |
서버실이나 더욱 범위가 큰 곳에서 사용한다 |
포인트 |
공인IP를 사설IP로 분배한다 |
공인IP를 보내고 받는 일을 한다 |
라우터의 이해
이름 그대로 라우팅(경로설정)하는 기계가 라우터입니다.
라우팅이란 컴퓨터에서 발생한 패킷(여기에는 보내는 컴퓨터의 주소, 받는 컴퓨터의 주소 등
여러가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을 분석하여 어디로 어떻게 보낼 것인가를 결정합니다.
인터넷을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이 라우터들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회사나, 학교를 생각해보면 내부에서 발생한 패킷이 내부의 다른 컴퓨터로 갈 수 도 있고, 밖으로
나갈 수도 있습니다. 밖으로 갈 경우도 밖에 있는 어떤 라우터로 보내야 할지도 결정해야 합니다.
이것을 결정하는 기계가 라우터입니다.

예)서울의 어느 집중국에 모인 편지 중에는 서울 안으로 전달되어야 할 편지도 있고,
부산으로 혹은 광주로 보낼 편지도 있을 것입니다. 이중 서울 내부로 보낼 것은 밖으로 보내지
않고 바로 보낼 것이고, 부산으로 갈 것은 대전-대구-부산, 광주로 갈 것은 대전-전주-광주 이렇게
보냅니다. (물론 실제로는 직접 갑니다만) 이때 대전, 대구, 부산, 전주 에 각각 라우터들이 있다고
보면 됩니다. 시작-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명령 프롬프트 창에 tracert www.enuri.com 이렇게
쳐보시면 님의 컴퓨터에서 발생한 패킷이 어떤 라우터를 거쳐 에누리의 웹서버에 도착하는지
나타납니다. (그중에는 라우터의 역할을 하는 컴퓨터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가정에서는 라우터가 필요없습니다. ADSL의 경우 가정의 컴퓨터에서 발생한 패킷은 무조건 ISP
(한국통신이나 하나로 통신 등)의 라우터로 가게 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알아서 처리합니다.
라우터에 허브가 통합되어 있다는 말은 꼭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옛날에 가끔 그런 제품이 있었는데 지금은 거의 없습니다.(IP 공유기를 라우터라고 본다면 모르지만
IP 공유기는 라우터보다는 그 성격이 프락시 서버에 가깝습니다.)
라우터는 50만원 이내의 것에서 부터 수천만원짜리 까지 다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