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사실은 25일 연합뉴스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어바인에 있는 블리자드 본사에서 마이크 모하임 CEO 및 폴 샘스 최고운영책임자(COO)와 가진 인터뷰에서 나왔다.
모하임 CEO는 “3년 여에 걸쳐 한국e스포츠협회와 대화를 진행했으나 협회 측이 블리자드의 지식재산권을 인정하지 않았다”며 “스타크래프트2 출시를 눈앞에 둔 시점에서 새로운 파트너를 찾아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블리자드는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 대해 분명한 지식재산권을 갖고 있지만 이를 존중받지 못하고 있다”며 “스타크래프트2 출시가 임박한 상황에서 성과 없는 협상을 계속할 수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블리자드는 파트너를 구하는 대로 직접 대회를 여는 등 다양한 사업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악의 경우 프로리그 등 한국e스포츠협회 주최로 진행 중인 스타크래프트 대회가 중단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방송사 주최로 진행되는 스타리그 역시 운영 방식도 수정을 검토해야 한다. 블리자드는 협회와의 협상을 중단하는 대신 직접 e스포츠 산업 육성 활동도 실시할 계획이다. 모하임 CEO는 “e스포츠 사업의 가장 큰 목적은 수익이 아니라 게임 커뮤니티의 활성화와 재미 제공”이라며 “수익이 발생하더라도 상당액을 산업 육성을 위해 재투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폴 샘스 COO는 “지금까지 파트너에게 금전적 부담이 될 정도의 계약을 요구하진 않았다”며 “최고의 대회 운영 능력을 갖추고 e스포츠 비전을 블리자드와 공유할 수 있는 업체를 찾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최근 스타크래프트2 최종 테스트 버전이 받은 청소년 이용금지 등급과 관련, 모하임 CEO는 “기본적으로 10대를 위한 게임으로 기획하고 개발했다”며 “이의 신청을 한 만큼 게임위가 이번 결정을 재고해 새로운 등급을 부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