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카 하영선 기자] 29일 기아가 공개한 플래그십 전기 SUV EV9에는 현대자동차그룹에서 개발한 HDP 시스템이 적용돼 주목을 받는다.
향후 소개될 EV9 GT Line(라인)에 장착되는 HDP(Highway Driving Pilot)은 미국 자동차공학회 기준 자율주행 레벨3에 속하는 최첨단 자율주행 신기술에 속한다.
HDP가 탑재된 EV9은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주행 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잡지 않아도(Hands-Off) 차가 알아서 스스로 앞 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할 뿐 아니라 차로를 벗어나지 않고 달릴 수 있다.

차량 운행의 주체는 사람이지만 주행 제어 및 주행 변수 감지의 주체는 시스템이라는 얘기다.
HDP를 적용하면 최고속도는 시속 80km 수준으로 주행이 가능하다. 작년 말 현대차의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가 플래그십 세단 G90에 최초로 적용할 계획이었지만, 당시 최고속도가 60km/h 수준이어서 결국 취소하고, 성능을 업그레이드 시켰다는 말이 나온다.
고속도로에서의 자율주행을 구현하기 위해 기아는 EV9에 2개의 라이다(Lidar)를 라디에이터 그릴 좌우에 배치하고, 총 15개의 센서와 정밀지도, 통합 제어기 등을 장착해 기술 완성도를 높였다는 후문이다.

고속도로 자율주행은 도로 환경에 맞춰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도로제한속도가 변화하는 구간이나 곡선 도로에서도 상황에 맞게 스스로 속도를 조절한다. 전방 차량이나 주행 중 갑자기 끼어드는 차량도 스스로 감지하고 판단해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등 주행안정성이 높다는 게 기아 측의 설명이다.
한편, 기아 관계자는 “HDP 시스템은 고객 안전 최우선을 원칙으로 설계돼 고속도로 자율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위험 상황에서도 탑승자의 안전을 가장 먼저 고려해 대응할 수 있는 기능도 마련됐다”고 자신했다.
하영선 기자 ysha@dailyca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