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카 하영선 기자] 전기차가 빠르게 대중화 되고 있는 가운데, 지하주차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말이 나온다.
29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최근 전기차 화재사고가 증가하면서 지하주차장 내 전기차 충전시설 화재에 대한 시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하주차장은 폐쇄적이고, 차량이 밀집돼 있어 2차 화재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또 소방차 진입이 쉽지 않은데다 인화성 유독가스 발생 등으로 지상보다 화재진압이 힘들다는 이유 때문이다.
전기차 점유율이 늘면서 주차장 내 충전소 보급률도 증가하는 만큼,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단기적으로는 1회 완충 비율을 85% 내외로 제한하고, 장기적으로는 지상 충전소 설치를 의무화해야 한다는 게 시민회의 측의 주장이다.

참고로, 소방청이 발표한 '최근 3년간 연도별 전기차 화재 현황'에 따르면, 작년 한해동안 전기차 화재는 총 44건이 발생했다. 2020년에는 11건, 2021년에는 24건이 발생해 매해 두 배가량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별 화재 건수는 일반·고속·기타 도로가 43건(54.4%)이지만, 충전 등을 위해 주차 중에 발생한 화재도 29건(36.7%)에 달한다. 전기차 화재로 인한 재산 피해액도 3년간 21억4587만원을 웃돈다.
시민회의 관계자는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전기차 보급 목표를 113만대로 설정하고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전기차가 도로를 달릴 것이고, 지하에 설치된 충전시설에서 충전하는 차량도 늘어나 화재 위험성도 커지는 만큼 장·단기적 안전대책을 시급히 도입하고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영선 기자 ysha@dailyca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