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델명만 보면 딱 맞는 TV가 보인다!
TV 고르려다 모델명 보고 멘붕 온 경험, 다들 있으시죠?
'50UA7500KNA' 같은 모델명은 처음 보면 도저히 해석이 안 되는데요,
사실 이 모델명은 TV 스펙과 특징을 모두 압축한 ‘코드’입니다.
지금부터 모르고 보면 어려운, 알고 보면 편리한 모델명 해석법을
디스플레이 종류별(UHD/LED, 나노셀, QNED, OLED)로 나눠서
쉽고 상세하게 알려드릴게요!

LG TV 모델명 기본 구조
모델명은 보통 아래와 같이 구성 됩니다.

울트라HD(UHD) TV 모델명 분석
UHD(LED) TV는 합리적인 가격에 4K 화질을 즐기고 싶은 분들께 적합합니다.

예시 모델: 50UA7500KNA
해석하면: 2025년형 50인치 보급형 UHD TV 를 뜻합니다.
📺UHD/LED TV 코드

나노셀(NanoCell) TV 모델명 분석
나노셀 TV는 일반 LED TV보다 색 표현력을 강화한 모델입니다.

예시 모델: 75NANO80AEA
해석하면: 2025년형 75인치 중급형 나노셀 TV 를 뜻합니다.
📺나노셀 TV 코드

QNED TV 모델명 분석
QNED TV는 LG의 프리미엄 LCD TV로, Mini LED 백라이트 기술을 통해
밝기와 명암비를 크게 향상시킨 모델입니다.

예시 모델: 65QNED85AKA
해석하면: 2025년형 65인치 고급형 QNED TV 를 뜻합니다.
📺QNED TV 코드

OLED TV 모델명 분석
OLED TV는 완벽한 블랙과 무한 명암비를 자랑하는 최고급 TV입니다.

예시 모델: OLED77C5FNA
해석하면: 2025년형 77인치 중급형 OLED TV를 뜻합니다.
📺OLED TV 코드

📺 TV 구매 결정 도우미 ✨
궁금증 해결 Q&A Top 3
Q1. TV 크기는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 가장 좋을까요?
💡 TV 크기는 시청 거리와 설치 공간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일반적으로 화면 대각선 길이의 1.5~2배 정도를 시청 거리로 권장합니다.
- 예: 65인치 TV의 경우, 약 2m~3m 정도의 시청 거리가 적당합니다.
- 거실의 크기나 TV를 놓을 벽면의 여유 공간을 미리 측정해 보고, 그에 맞는 최대 크기를 고려하면 좋습니다. 너무 큰 TV는 오히려 눈에 피로를 줄 수 있고, 너무 작은 TV는 몰입감을 떨어뜨릴 수 있어요.
Q2. 4K, 8K 같은 '해상도'는 무엇이고,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요?
💡 해상도는 TV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점)의 수를 의미해요.
픽셀 수가 많을수록 더 선명하고 디테일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 4K (UHD): 3840x2160 픽셀로 가장 대중적이고 표준적인 고해상도입니다. 대부분의 영상 콘텐츠(넷플릭스, 유튜브 등)가 4K를 지원하며, 일반적인 시청 환경에서 충분히 선명한 화질을 제공해요.
- 8K: 7680x4320 픽셀로, 4K보다 4배 더 많은 픽셀을 가집니다. 압도적인 디테일을 제공하지만, 아직 8K 콘텐츠가 매우 적고 TV 가격도 훨씬 높습니다. 가까운 거리에서 초대형 TV를 보거나 최첨단 기술에 관심이 많다면 고려해볼 만하지만, 현재로서는 4K TV가 가장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선택입니다.
Q3. OLED는 '번인(Burn-in)'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데, 구매해도 괜찮을까요?
💡 OLED의 '번인'(화면에 특정 이미지가 잔상처럼 남는 현상)을 우려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최신 LG OLED TV는 번인 형상을 크게 개선했습니다.
- LG는 픽셀 리프레셔, 로고 휘도 조절, 자동 화면 이동 등 다양한 번인 방지 기술을 적용하고 있어, 일반적인 시청 환경(다양한 콘텐츠 시청, 특정 이미지 장시간 고정 안 함)에서는 번인 걱정 없이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다만, 게임 UI나 뉴스 채널 로고처럼 매우 장시간(하루 10시간 이상, 수개월 지속) 동일한 고정 이미지를 매일 시청하는 특수한 환경에서는 미미하게 번인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이라면, 구매 전 제품의 보증 정책을 꼭 확인해 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기획, 글: 에누리 가격비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