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누리 가격비교 쇼핑지식

  • AMD 프리싱크 지원하는 IPS 모니터 LG전자 27MK600MW

    • 매일경제 로고

    • LG

    • 조회 : 1,992

    • 댓글 : 0

    비밀번호 입력 닫기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확인

     

    LG전자가 모니터 신제품 '27MK600MW'를 출시하였다. 27인치 IPS(In-Plain Switching) 패널이어서 정면은 물론 여러 각도에서 색상 왜곡 없이 높은 화질로 화면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화면주사율 75Hz와 AMD 프리싱크(FreeSync)를 지원하여 매끄러운 화면 전환이 가능해 게임 시 유리하다.

     

    시야각 넓은 IPS 패널 모니터

     

    LG 27MK600MW는 27인치 IPS 패널이 탑재 되어서 수평수직 시야각 모두 178도를 지원한다. 모니터를 PC와 연결해 사용할 때는 화면을 정면에서 보기 때문에 굳이 시야각을 신경 쓸 필요가 없지만 약간 거리를 두고 여럿이 영상물을 감상한다면 중요한 요소이다.

     

     

    직접 살펴본 결과 화면과 대각선 위치에 있어도 정면과 화질 차이가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급형 모니터에 흔히 사용하는 TN(Twisted Nematic) 패널은 화면 정면에서 많이 벗어난 위치라면 본래 색상과 크게 다르게 보이는 왜곡 현상이 나타난다.

     

    풀(Full) HD 해상도와 화면주사율 75Hz 지원

     

    이 제품은 최대 해상도 1920x1080, 즉 풀 HD를 지원하며 화면재생률(화면 재생 빈도)은 75Hz(헤르츠)까지 조정 가능하다. 화면재생률은 높을수록 PC가 전송하는 그래픽 신호를 한번에 더 많이 처리할 수 있는데 이는 보편적인 60Hz 모니터보다 한층 더 매끄러운 화면 전환을 가능케 한다.

     

     

    '오버워치'를 실행해서 그래픽 옵션을 보면 1920x1080 해상도에서 화면재생률 75Hz로 설정 된 것이 보인다.

     

    다만 화면재생률 75Hz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PC의 그래픽 처리 성능이 75 FPS(초당 프레임)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 PC의 그래픽 처리 성능이 모니터의 화면재생률에 미달하면 화면이 끊길 수 있다.

     

    반대로 PC의 성능이 월등해서 FPS가 화면재생률보다 너무 높으면 모니터가 그래픽 신호를 알맞은 수준으로 처리하지 못하므로 그 점도 고려해야 한다.

     

    베사 마운트와 HDMI 포트 2개 제공

     

    LG 27MK600MW의 후면은 깔끔한 하얀색이어서 전면과 대비를 이룬다. 후면 중앙에는 나사 구멍 4개가 보이는데 100x100mm 규격 베사 마운트(VESA mount) 홀이므로 모니터를 벽에 거치하거나 미니 PC를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다.

     

     

    베사 마운트 홀 아래에는 D-Sub 포트와 HDMI 포트 2개, 3.5mm 오디오 출력 포트가 있다. D-Sub와 HDMI 모두 최대 해상도는 1920x1080까지 지원하며 제품 내부에 스피커가 없어서 HDMI로 전송 된 소리를 출력하려면 3.5mm 오디오 출력 포트에 스피커나 헤드폰을 연결해야 한다.

     

    눈이 편안한 읽기 모드와 색약자 위한 영상 모드 지원

     

    이 제품은 전면 LG 로고 뒤에 있는 하얀색 버튼이 있다. 누르면 모니터 전원을 켤 수 있고 켜진 상태에서 다시 누르면 OSD(On Screen Display) 메뉴를 불러올 수 있다. 버튼은 네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원하는 쪽으로 항목을 이동하고 버튼을 누르면 마우스 클릭처럼 선택 되는 방식이다.

     

     

    OSD 메뉴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눠지는데 우선 '영상 모드'를 살펴보겠다. 기본 상태인 '사용자 설정'과 '읽기 모드', '사진', '영화', '색약자 색보정 모드', '게임' 등 여섯 가지가 있다.

     

     

    읽기 모드는 설정 시 화면 색상이 크게 변화하는데 눈에 나쁘다고 알려진 청색 파장을 70% 가량 감소 시키기 때문이다. '로우 블루라이트(Low Bluelight)'라고 보면 된다.

     

    장시간 문서 작업을 할 때 눈이 편해지지만 기본 상태와 비교하면 색상 차이가 크므로 사진 편집이나 영상물 감상, 게임을 할 때는 다른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LG 27MK600MW눈 플리커프리(Flicker-free)도 지원한다. 플리커프리는 모니터가 밝기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백라이트를 켜고 끄는 과정을 반복할 때 생기는 깜빡임인 플리커를 방지하는 기술이다. 백라이트의 전력을 조절하여 밝기를 제어해 플리커 발생을 막는다. 자동으로 작동한다.

     

     

    이어서 나머지 모드도 비교해보았다. 사진과 영화, 게임 모드는 기본 상태보다 색상이 약간 차이나는 수준이며 색약자 색보정 모드는 일부 사물의 색이 크게 강조 된다. 따라서 색약자가 육안으로 구분하기 힘든 색을 식별할 때 도움줄 수 있다.

     

    AMD 프리싱크로 화면 동기화

     

    OSD 메뉴 초기 화면에서 '설정'을 선택하면 위 화면처럼 네 가지 항목이 나온다. 이 중에서 '게임 조정'에는 게이머를 위한 기능이 몇 가지 제공 된다.

     

     

    게임 조정으로 들어가면 AMD 프리싱크(FreeSync)가 보인다. 게임 실행 시 모니터와 그래픽카드는 처리 속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화면 위아래가 서로 어긋나는 티어링(Tearing) 현상이 나타나는데 프리싱크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근래 출시 된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나 APU를 탑재한 시스템,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의 엑스박스원X(Xbox One X)에서 호환 된다.

     

     

    LG 27MK600MW의 프리싱크 기능을 켜고 라데온 RX 480 그래픽카드가 장착 된 PC에서 라데온 제어판의 디스플레이 항목에 가보면 프리싱크가 켜진 것을 볼 수 있다.

     



    AMD 프리싱크 On(좌), Off(우) 비교

     

    AMD 프리싱크 데모(Demo)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화면을 비교해보았다. 프리싱크를 끄면 붉은색 막대가 어긋나서 티어링 현상이 보이는데 프리싱크를 켜면 깨끗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직동기화(V-Sync) 기술을 적용해도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지만 동기화가 실패하면 게임 성능이 급격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라데온 그래픽카드나 APU 사용자라면 프리싱크를 쓰는 쪽이 훨씬 효율적이다.

     

    게임 시 유용한 블랙 스태빌라이저와 크로스헤어

    프리싱크 아래에 있는 '블랙 스태빌라이저(Black Stabilizer)'와 '크로스헤어(Cross Hair)'도 게이머에게 쓸모있는 기능이다.

     

     

    블랙 스태빌라이저는 화면 명암비를 높여서 게임 시 어두운 곳에서도 캐릭터와 사물을 더 쉽게 분간할 수 있게 해준다. 세 단계(0-50-100)로 조절할 수 있는데 위 화면처럼 0이면 어두운 곳에 무엇이 있는지 거의 확인하지 못하고, 100이면 마치 밝은 곳에 있는 듯이 보인다.

     

    따라서 게임 시 어두운 곳에 매복한 적 캐릭터를 조금 더 쉽게 찾아내고 싶은 게이머에게 도움 된다. 다만 수치가 높으면 색상이 어색하게 느껴져서 50이 적당하다.

     

     

    크로스헤어는 모니터 화면 중앙에 작은 조준점을 표시해주는 기능이다. 배틀그라운드나 오버워치 같은 게임을 하면 기본적으로 표시해주지만 배경에 따라서 제대로 보이지 않는데 크로스헤어로 켠 조준점은 그런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배틀그라운드를 실행해 확인해보면 게임 내 조준점과 어떻게 다른지 알 수 있다. 기본 조준점은 하얀색이어서 위 화면처럼 밝은 위치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데 붉은색인 크로스헤어 조준점은 훨씬 눈에 잘 띄었다.

     

    어쩌면 작은 차이에 불과하지만 헤드샷 한발로 승패가 정해지는 게임 대결에서 그 효과는 의외로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상황 별 소비전력 측정

     

    모니터는 장시간 사용하는 제품이므로 소비전력도 제품 평가에 중요한 요소이다. 그래서 전력측정기를 사용해서 상황 별로 LG 27MK600MW의 소비전력을 살펴보았다.

     

    전원 어댑터만 연결하고 켜지는 않은 대기 상태에서는 0W(와트)로 표시 되어서 대기 전력이 1W 미만이었다. 밝기 0%에서는 10W 내외, 밝기 50%에서는 14W 내외, 밝기 100%에서는 24W 내외로 측정 되었다.

     

    제원상 이 제품의 최대 소비전력은 25.5W이므로 사양을 준수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OSD 설정 메뉴에는 '스마트 에너지 세이빙(Smart Energy Saving)'이라는 항목이 있다. 화면 내 명암비를 기준으로 삼아서 적절한 밝기로 자동 조절하는 기능인데 상황에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사용자마다 최적으로 느끼는 밝기가 다를 수 있으므로 그 점을 참고하여 기능 사용유무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제품 구성물

     

    구성물로는 사용자를 위한 간편 설치 안내서와 제품 보증서, 디스플레이 품질 확인서, 전원 어댑터, 모니터 드라이버 설치 디스크, HDMI 케이블이 제공 된다. 디스플레이 품질 확인서에서는 감마(Gamma)와 색온도 변화(Color Temperature Variation), 델타-E(Delta E) 등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서 정확한 모니터 사양이 궁금한 이들에게 유용하다.

     

     
     
     
    방수호 기자 / 필명 스캐빈저 / 스캐빈저님에게 문의하기 scavenger@bodnara.co.kr

    신고
    뉴스 인기 게시글
    전체 댓글

    0/1,000

    등록

    컴퓨터 뉴스의 다른 글

    로그인 하고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쇼핑지식 인기글

    로그인 하고 에누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받으세요!

    에누리TV

    더보기

    커뮤니티 인기글

    더보기

    BEST 구매가이드

    더보기

    사용자 리뷰

    더보기

    투데이 HOT CLIP

    더보기
      이전글
      다음글